티스토리 뷰
재산을 증여할때 꼭 체크 해야하는 증여세! 2024년 최신 증여세 면제 한도액과 증여세율을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재산을 증여받을 때 발생하는 세금인 증여세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증여세는 부모님이나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을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늘은 증여세 면제한도액과 증여세율을 중심으로 증여세에 대한 모든 것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증여받는 경우 그 재산의 가치에 따라 수증자가 부담해야 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재산을 증여하는 행위는 부의 세습이나 자산 이전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질 수 있지만, 증여세는 그 재산의 이전이 이루어질 때마다 발생합니다.
증여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타인에게 무상으로 유형 또는 무형의 재산을 이전하거나 재산 가치를 증가시키는 행위.
- 유증과 사인증여는 제외됩니다.
국세청 증여세 바로가기 : 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2338&cntntsId=7726
증여세의 납세 의무자
수증자는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사람이며, 이 수증자가 증여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예외적으로, 영리법인이 증여받은 재산은 법인세 과세 대상으로 포함되므로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증여세 과세 대상
수증자의 거주 상태에 따라 증여세 과세 대상은 다르게 적용됩니다.
- 거주자: 국내외 모든 증여재산에 대해 증여세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 비거주자: 국내에 있는 모든 증여재산에 대해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국외 재산의 경우 거주자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증여자가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판단 기준
- 거주자: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를 둔 사람.
- 비거주자: 거주자가 아닌 사람.
증여세 과세 범위와 증여세율
증여세 과세 대상 재산은 금전으로 환가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물건과 법률상 권리 등을 포함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액
증여세 면제한도액은 수증자와 증여자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다음 표에서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른 증여세 면제한도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여자와의 관계 | 증여재산 공제 한도액 (10년간 합산) |
---|---|
배우자 | 6억 원 |
직계존속 | 5천만 원 (미성년자는 2천만 원) |
직계비속 | 5천만 원 |
기타 친족 | 1천만 원 |
그 외의 자 | 없음 |
증여세율
증여세율은 최저 10%에서 최고 50%까지의 5단계 초과누진세율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과세표준에 따라 적용되는 증여세율과 누진공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
1억 원 이하 | 10% | 없음 |
1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 20% | 1천만 원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 30% | 6천만 원 |
10억 원 초과 ~ 30억 원 이하 | 40% | 1억 6천만 원 |
30억 원 초과 | 50% | 4억 6천만 원 |
증여재산의 증여일 판단
증여일로 보는 증여재산의 유형별 취득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등기·등록을 요하는 재산: 소유권의 이전 등기·등록 신청서 접수일
- 주식 및 출자지분: 객관적으로 확인된 주식 등 인도일
- 타인의 기여에 의하여 재산 가치가 증가한 경우: 재산가치 증가 사유 발생일
비과세되는 증여재산
비과세 증여재산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포함됩니다.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증여받은 재산
-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이재구호금품, 치료비, 피부양자의 생활비 등
- 무주택근로자가 사내근로복지기금으로부터 증여받은 주택취득보조금 등
신고 및 납부 방법
증여세는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신고세액공제와 납부세액공제를 통해 일정 금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개인이 직접 신고하셔도 됩니다.
홈택스 :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
홈택스 접속후 세금신고> 증여세 신고를 클릭하면 됩니다.
증여세 신고와 연대납부 책임
증여세 신고기한까지 재산을 반환하는 경우 과세 여부가 다릅니다. 또한, 수증자가 납부할 증여세에 대해 증여자가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수증자가 주소 또는 거소가 분명하지 않거나 증여세를 납부할 능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렇게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증여를 할 예정이거나 증여를 받을 예정이라면 면제 한도액 필수로 확인하세요!
*이런글도 읽어보세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일상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양지 추천 top10 (1) | 2024.06.13 |
---|---|
8월 해외여행지 추천 top10 (1) | 2024.06.13 |
개인투자용 국채 매입 방법 (미래에셋증권 청약) (1) | 2024.06.12 |
국민은행 환전 우대 방법 (0) | 2024.06.11 |
월요일 예능 추천 top7 (0) | 2024.06.10 |